ID Password  
  Forgot Password or ID | Sign Up  
 
     
Welcome to KoreanFest.com
 

Sumi Jo's Art of Sharing

Since debuting in Trieste, Italy, in 1986, Sumi Jo has become one of the most sought-after sopranos of her generation, performing in nearly all the major halls and conquering seemingly impossible vocal heights with graceful ease.

Last year, the 49-year-old celebrated 25 years of singing, and she is looking forward to another 25 _ “obviously not always on the stage but in other ways that I can share and give,” says Jo over the phone while on tour in Sydney.

A UNESCO-designated “Artist for Peace,” Jo will be visiting North Korea in May with a group of Korean-American doctors to provide free vaccinations for children. “In the past, I had about three chances to visit North Korea but they all fell through. I wanted to make the visit not as a musician but as a humanitarian. I really want to help children,” she says.

After her visit was confirmed, Jo received an invitation to perform with the local orchestra. “I said yes, as long as it’s a charity concert. The wonderful thing about music is that it can not only give joy to listeners but also be used for a good cause.”

A Grammy Award winner with more than 50 albums to her credit, Jo also hopes to use her fame to raise awareness about animal protection in her home country.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animal protection ever since I was young,” says the Seoul native, who is herself the owner of three dogs.

“I believe it’s important to care for not only our beloved pets but all living creatures, to allow them to live without being abused.” Jo is currently raising funds to open an education center where people can learn about respecting animals and adopt stray cats and dogs.

Another educational initiative she hopes to pursue is naturally through music. “I want to continue giving more master classes for youths. And if I find talented young singers then I’d like to support them, to help them debut without going through the hardships that I had to endure.”

Looking back at her 25 years, there were many trying moments. Winning the approval and support of classical music greats like the late maestro Herbert von Karajan did not protect her from racial discrimination. “Europe [in the 1980s] was very conservative, and it was nothing short of a miracle for an Asian to play a lead opera role,” she says.

However, she was able to persevere with an iron will. “First of all, I knew myself very well, and knew what I wanted. Everything I’ve accomplished was planned in advance and I followed through with it; it didn’t happen overnight. I am constantly pushing myself to move forward.”




Self-discipline, she says, keeps her going. “Every moment is challenging in a way. I feel responsible to live up to the name ‘Sumi Jo’ _ I can’t indulge in alcohol or fatigue my voice with long conversations, or stay up late or get sick.”

She does, however, always take time for introspection. “I am in constant dialogue with myself.” She thus encourages aspiring singers to find inner peace. “You need to find happiness, leisure and wisdom in order to deliver songs from deep within yourself. Being able to move people’s hearts is the greatest weapon, and no cold-hearted person can touch others.”

Jo has built an extensive career sharing music with audiences. She has interpreted the hallmarks of the bel canto _ and even recently Baroque _ repertoire, but has also reached out to non-classical music fans by singing Korean traditional songs as well as scores for TV dramas such as HBO’s Mildred Pierce. The singer even made a surprise appearance on the talent show Operastar Korea last May.

“I feel it’s important to connect to people outside opera houses. I really enjoy communicating with the younger generation, rather than waiting around in the opera house,” she says. She keeps in touch with fans through social media, and operates her Twitter, Facebook and Cyworld accounts herself.

“It’s one of the few things that I can continue to do wherever I go,” she says. Even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she was battling jetlag from tours in the UK and Mexico. After performing in New Zealand, the artist will be on the road again for a charity event in Qatar. “I believe it’s my mission to sing wherever I am needed _ to reach out to youths and interact with the public. Music-making itself is a great joy and blessing.”


* Article from Korea Magazine

 
 

  K-fest News  
   [이슈·분석]`트럼프 현금 지급'…..
향후 몇 주 내에 체크로 보낼 계획" - WP "코로나 사태 미국인 대처하기 위함" - WP "2주 안에 미국인에게 체크 보낼 것" - NYT / 므누신 장관 백악관 "직접 돈 보내기 지지한다" "재무부, 현금지급 연방의회와 토의" - NYT 므누신 "트럼프, 지금 해야한다 지시" "근로자 세금 감면은 몇 달 걸려" 트럼프, 직접 현금 지급 시행 권유 - NYT "전체 중 2500억…
   “눈.코.입.”사수하면 걱정 끝!!! 이..
이제까지 나온 자료중 가장 간결하고 핵심을 다룬 우한코로나 19에 대한 것입니다 Virus는 국경을 모르고, 인간숙주를 죽이지 않는 방향으로 변이한다.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 /Covid19) 대해 한국은 마스크전쟁 및 정치논쟁만 하고 있어 답답한 마음에 내가알고 있는 “CoronaVirus Full Story”를 공유드립니다( 전세계관련기사를 종합한 합리적의…
   미 국방부 “한국 등 여행경보국 방문..
미 국방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여행경보 2단계와 3단계 국가를 방문한 직원들의 국방부 청사 접근을 제한했습니다. 모든 미군 장병과 민간인 관계자 등의 국내 이동을 제한하는 조치도 취했습니다. 김동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미 국방부가 한국 등 여행경보 대상국가를 방문한 사람들의 국방부 청사 출입을 제한한다고, …
   (미국)은 국가 비상 사태에 돌입!
(미국) 비상 사태에 들어갑니다 해당 측정에는 136이 포함됩니다. 가장 효과적인 조항은 미국이 필요로하는 모든 제품을 미국에서 생산할 수 있으며 가격이 얼마인지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정부는 적절한 보조금 계획을 제시 할 것입니다. 이는 미국 제조 회사가 전 세계에서 미국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미국으로 수…
   트럼프의 코로나 낙관론에 맞선 79세 &..
- 36년째 美국립 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장 파우치 박사 트럼프가 "곧 백신 개발" 밝히자 "최소 1년이상 걸릴 것" 반박 에볼라 백신 등 개발 주도… 美매체 "미국이 신뢰하는 단 한사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그동안 미국 내 우한 코로나 방역 실태에 대해 "매우 잘 통제되고 있다"며 낙관론을 폈다. 그때마다 의학·과학적 사실에 기초해 …
   트럼프 대통령, 국가비상사태 선포.....
트럼프 대통령, 국가비상사태 선포...대구경북 '재난특별지역' 선포도 미적거리는 文정부와 대조적 13일 백악관서 기자회견 “주 정부가 500억 달러 연방 재난구호기급에 접근할 수 있다” 美주식시장, 기자회견 직후 급등 美보건후생부 장관 권한 강화...바이러스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文정부, 우한폐렴 확진자 5,990명 사망…
   (속보) 트럼프, 美 국가 비상사태 선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 주 정부 등에 500억 달러(61조)의 자금에 접근할 수 있게 하게됐으며 앤드류 쿠우모 뉴욕 주지사등과 통화하고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간에 협력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
   WHO, 코로나19에 팬데믹 선언…"통제될 ..
세계보건기구(WHO)는 11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 세계적 대유행, 즉 팬데믹을 선언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는 평가를 내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미국 질병예방통제국(CDC)에서 강조하..
미국 질병예방통제국(CDC)에서 강조하는 손씻기와 개인 청결문제는 다들 아실테니 좀 더 자세한 주의 사항을 전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If you have a runny nose and sputum, you have a common cold 콧물이 나고 가래가 나면 보통 감기 입니다 2. Coronavirus pneumonia is a dry cough with no runny nose. 코로나바이러스는 마른기침에 콧물이 나지 않…
   ‘대구의 품격'
'대구의 품격' 공포가 덮친 도시는 을씨년스럽고 음울하다. 카뮈의 '페스트'에 등장하는 북아프리카 항구 오랑은 죽은 쥐가 나타나면서 아비규환으로 변해간다. 나를 해칠 바이러스를 품고 있을 상대에 대한 불신, 나만은 살아야 한다는 절규가 증폭되면서 도시는 지옥이 된다. '코로나 발원지' 중국 우한이 그러했다. 대구…
   박근혜"기존거대야당중심으로… 하나..
박근혜 " 기존 거대야당 중심으로 … 하나로 힘 합치길 " 옥중 메시지 朴 , 옥중에서 자필 작성 ... 유영하 변호사가 대독 박근혜 전 대통령이 4 일 4 월 총선과 관련 " 기존 거대 야당을 중심으로 태극기를 들었던 여러분 모두가 하나로 힘을 합쳐줄 것을 …
   "이곳엔두려워하는군중이없다"…대구..
" 이곳엔 두려워하는 군중이 없다 "… 대구 취재한 美 ABC 도 감동 현장에서 - 힘내라 ! 대구 · 경북 대구가 아프다 … 그러나 울지 않는다 " 왜 대구냐 " 불안 · 울분 속에서도 아픔 나누며 " 함께 이겨내자 " " 여기서 막아야 대한민국 지킨다 " 다른 지역으로 이동…
   <코로나19 관련 공지사항(3.2 오전 기..
&lt;코로나19 관련 공지사항(3.2 오전 기준)&gt; 1. 대구 지역 여행 경보 상향조정(4단계 입국금지) o 미국정부가 현지시간 2.29(토) 한국 대구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여행자제)에서 최고 단계인 4단계(여행금지)로 상향 조정하였습니다. 다만, 동 조치는 대구 지역에만 해당되는 것이며, 미 국무부는 대구를 제외한 한국 나머지 지역에 …
   주사파.하다..집권한 정부-김문수 전 ..
저는 학생운동, 노동운동, 좌익정당을 하면서, 대학교에서 2번 제적되고 25년 만에 졸업장을 받았습니다. 7년 동안 공장생활하면서, 노동조합 위원장을 2년 동안 했습니다. 감옥에 두 번 가서 2년 5개월 동안 살았습니다. 감옥에서 김일성주의자, 주사파 학생들 수백 명과 만나서 토론도 많이 하고 함께 생활도 했습니다. 광주교도소에서 …
   美 목사들 "한국사회, 주사파가 장악..
목사들 "한국사회, 주사파가 장악… 교회파괴·공산화 시도" 올네이션스 연합중보기도 컨퍼런스… 미국 목사들 "한국 위해 기도해달라" 세계에 요청 "이른바 '평화통일운동'은 자유 종결, 기독교 박해 가져올 거짓 메시지" 미국 현지 목사들이 한 교회연합 집회에서 "북한의 주체사상 추종자들에게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가 …
처음  1  2  3  4  5  6  7  8  9  10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