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Password  
  Forgot Password or ID | Sign Up  
 
     
Welcome to KoreanFest.com
 
   https://youtu.be/vU036K-JFQA?feature=shared [8248]

K-Children's Choir

Korean Children's Choir

[That Moment]  
Liberation Day Open Concert in the U.S.

An “Open Concert” in celebration of Liberation Day was held at the Clayton Performing Arts Center in Atlanta. It was like a small oasis amidst the heat of midsummer and the noise of the city. The concert featured the Atlanta Philharmonic, conducted by Park Min, and the Atlanta Children’s Choir, directed by Cheon Young-jun.

On stage, a large crescent moon-shaped screen was illuminated, with a crescent moon shining like starlight drawn behind the stage. The gentle melodies of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played by the orchestra, combined with the pure voices of the children’s choir, warmly embraced the audience.

What made the concert particularly special was a touching scene that unfolded in one corner of the audience. Many immigrants had gathered there, and some were moved to tears or hummed along with the songs, momentarily returning to their childhood. For these immigrants, the sadness and stress they had endured while building a new life in a foreign land were, for that moment, forgotten.

As the orchestra’s music and the children’s choir’s voices resonated more deeply, the immigrants had a chance to express their emotions. They looked at one another, sharing both their longing for their homeland and their hope for a new life through song. The concert was not just a performance for them; it was a time for healing and comfort.

The performance by the children’s choir and the orchestra, under the direction of Park Min and Cheon Young-jun, went beyond simple musical notes. It became a moment where the special emotions and joys of immigrants were shared. That night, under the Atlanta sky, their voices resonated softly and warmly like the crescent moon, and in their hearts, a deeper sense of solidarity as Koreans took root.  
(The video is a live performance recording from August 1998.)

그때 그 순간]
광복절 미국 열린 음악회 

애틀랜타의 크레이톤 퍼포밍 아츠 센타에서 광복절기념 “열린음악회”가 열렸다. 한여름의 더위와 도시의 소음 속에서 작은 오아시스 같은 장소였다. 박민이 지휘하는 애틀랜타 필~과 천영준이 지도한 애틀랜타 소년 소녀 합창단이 함께하는 공연이었다.

무대 위에서 반달 모양의 큰 스크린이 조명 속에 드리워졌고, 무대 뒤에는 별빛처럼 빛나는 반달이 그려졌다. 오케스트라의 서서히 울려 퍼지는 우리민족의 동요선율과 어린이합창단의 맑은 목소리가 어우러지며, 관객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감쌌다.

그 공연의 특별한 점은 관객석의 한 구석에서 일어난 감동적인 장면이었다. 많은 이민자들이 그곳에 모여 있었고, 그들 중 일부는 음악의 흐름에 맞춰 눈물을 글썽이거나 ,동심으로 돌아가 노래를  흥얼거리고 있었다. 그들의 고향을 떠나 새로운 삶을 살아가며 겪었던 슬픔과 스트레스가 이 순간만큼은 잊음의 순간이었다. 

무대 위의 오케스트라 음악과 어린이합창단의 목소리가 더욱 가슴 깊숙이 스며들며, 이민자들은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얻었다. 그들은 서로를 바라보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을 노래로 나누었다. 음악회는 단순한 공연이 아니라, 그들에게는 치유의 시간, 위로의 시간이었다

박민과 천영준의 어린이 합창단과 오케스트라의 연주는 단순한 음률을 넘어 사람들의 마음속 깊은 곳에 있는 이민자의 특별한과 기쁨을 함께 나누는 순간이 되었다. 그날 밤, 애틀랜타의 하늘 아래에서 그들의 목소리는 반달처럼 부드럽고 따뜻하게 울려 퍼졌고, 그들의 마음속에는 한층 깊은 한국인의 연대감이 자리잡았다.
(영상은 1998년 8월의 공연실황자료이다.)

 
 

  지금...이 순간...  
   마지막 날들을 위한 용기

<마지막 날들을 위한 용기> 많은 사람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 채 살아간다. 죽음을 앞두었을 때야 비로소 평생 진정으로 하고 싶었던 일이 떠오르기도 한다. 말기 환자들이 세상을 떠나기 전 후회하는 말은 ‘다른 사람이 아닌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 ‘내가 그렇게 열심히 일하지 않았더라면’ ‘내 감정을 표현할 용기가 있었더라면’ ‘친구들과 계속 연락하고 지냈더라면’ ‘나 자신에게 더 많은 행복을 허락했…

   어느 할머니가 양로원에서

이 글은 할머니의 글이지만, 우리 모두의 현재 이거나, 미래라고 생각 된다. 어느 작은 요양병원에서 한 할머니가 돌아 가셨다. 간호사들이 조촐한 할머니의 짐을 정리하다가 "이" 편지를 발견 하게 되었다. 편지 내용에 감동받은 간호사 들이 이 편지를 복사 하여 모든 간호사 에게 전달 하였다. 한 간호사는 이 편지를 정신 건강협회 뉴스지의 "크리스 마스" 판에 실리게 하였다. 단순 하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이 편지는 동영상으로 만들…

   영웅을 외롭게 만들지 않는 나라

미국의 애국자 예우/ 영웅을 외롭게 만들지 않는 나라! 바로 이런 것이 미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만드는 것이다. 미국은 지구상의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국방비 예산을 쓰면서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최첨단 기술로 만들어진 무기들은 타국은 흉내 낼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것들이다. 하지만 미국이 세계 최강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엄청난 국방비도 최첨단 무기 들도 아니다. 무엇이 미국을 세계 최강의 …

   폭탄이 여기! 저기 ! 터지고 있어요.

벌써 2시간. 그는 거리에 서있는 빨간 차 한 대를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지금 그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폭탄은 여기저기서 터지고 머리 위에서는 수시로 미사일이 떨어졌죠. 가족과 함께 방공호에 피신해있던 그는 상황이 악화되자 키이우를 떠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하지만 차량도, 휘발유도 구하기 어려웠죠. 그때 눈에 띈 것이 엉망이 된 도로에 서 있는 빨간 차 한 대였습니다. 시동장치에는 열쇠가 꽂혀 있었고, 기…

   진정한 승리자, 진정한 영웅
미국에 손꼽히는 명문 필립 엑시터라는 기숙형 고등학교가 있습니다. 200년이 넘는 전통에 미국 핵심 엘리트들을 길러낸 학교 입니다. 학교 강당에는 학교를 빛낸 졸업생들의 사진이 걸려 있습니다. 이들의 영웅이 정계의 실력가들이냐고요? 재계의 거물들 이냐고요? 최우수 졸업생들이냐고요? 아닙니다. 그들이 영웅으로 기념하는 …
   자랑스런 대한민국

1. 전자 공업이 세계에서 제일 발전한 나라.. 특히 반도체는 물론이고 가전 제품 (냉장고, TV,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를 비롯하여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넥스, SK반도체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전세계 판매량 40%를 차지함.. 2. 사회 생활 서비스 망이 세계 최고로 발전.. 가정 마다 자가용 승용차는 물론 시장, 교통 (버스, 택시, 열차) 도로, 식당, 편의점(마트), 지하철이 세계에서 최고.. 은행 카드 한장만 가지면 한국은 물론 유럽, 미국을 비롯한…

   자유의 소중함

자유의 소중함 -임현수목사- 내가 북한 땅에서 뼈저리게 배운 것은 자유의 소중함이다 북한 주민들이 가장 불쌍한 것은 자유가 너무 심하게 통제 받는다는 사실 때문이다. 북한은 심지어 라진(북한) 핫산(러시아) 훈춘(중국) 자유 경제 무역 지구에서 유일하게 자유라는 단어 지운 나라이다 공산주의 국가에서 가장 거슬리는 단어가 자유라는 단어이다 북한 땅에서는 어떤 외국인도 혼자서는 택시도 탈 수 없고 버스도 탈 …

   살며 사랑하며/ 80억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

<살며 사랑하며/ 80억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 -김선오 시인- DNA에 입력된 인간의 자연 수명은 38세라고 한다. 1992년에 태어나 올해 만 30세인 나는 곧 노년기에 들어서는 셈이 다. 위생과 의학의 발전은 인간의 평균 수명을 자연 수명의 2배 이상 끌어 올렸다. 현재 한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3.5세다. 나날이 빨라지는 정보의 확산과 기술의 발달을 통해 인류의 평균 수명은 점점 늘어갈 것이다. 수명이 늘어간다는 건 한 개체에 …

   망치질에도 철학 이 있다
<망치질에도 철학 이 있다> -조선일보 박돈규 기자- 그는 오늘도 허공에 망치질을 한다. ‘해머링 맨(Hammeri ng Man)’은 서울 광화문 근처에 있는 22m 높이의 움직이는 조각품이다. 요즘엔 산타클로스 모자와 양말을 착용하고 있어 멀리 서도 눈길을 붙잡는다. 해머링 맨이 망치를 머리 위로 올렸다가 내리기까지 걸리는 시간…
   십자가 없는 십자가상
십자가 없는 십자가상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소재만으로도 충분히 슬픈데 내막을 알면 더 슬퍼지는 예술품이 있다. 조각가 권진 규의 건칠(乾漆) 작품 ‘십자 가 위 그리스도’가 그러하다. 서른세 살의 나이에 십자가 형을 받고 세상을 떠난 예수 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그런데 조각가는 삼베에 건칠 작업을 해 예수…
   아버지…
[사진의 기억] 어느 아버지의 초상 1932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민국을 살다 간 한 남자가 있다. 이름 김순철. 고향이 평안북도 구성인 그는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었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생계를 위해 안 해 본 일 없는 청장년기를 보냈고 마흔이 되어서야 결혼해 1남2녀를 두었다. 몇 번인가 사업 실패로 고전했지만 가족에게는 내색치 않…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며~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며~ 가정이란? 부부(夫婦)를 중심으로 그 부모(父母) 나 자녀(子女)를 포함(包含)한 집단(集團)과 그들이 살아가는 물리적(物理的) 공간(空間)인 집을 포함(包含)한 생활공동체(生活 公同體)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람은 가족(家族)과 같이 살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모른다. 가정은 최고(最高)의 안식처(安息處)이다. 사랑과 이해(理解)로 서로를 감싸준다. 대가없는 희생(犧牲)과 베품이 가득한 곳이다. *1852년 4월10…

   업어주는 사람
<업어주는 사람> -나민애 문학평론가- 오래전에 냇물을 업어 건네주는 직업이 있었다고 한다 / 물가를 서성이다 냇물 앞에서 난감해하는 이에게 넓은 등을 내주는 / 그런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중략) 병든 사람을 집에까지 업어다주고 그날 받은 삯을 / 모두 내려놓고 온 적도 있다고 한다 / 세상 끝까지 업어다주고 싶은 사람…
   “내 우물쭈물하다가 이렇게 될 줄 알았다.”

남은 인생, 어떻게 살 것인가? ​ 백 년 전쟁 때 영국의 태자였던 에드워드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지나가는 이여, 나를 기억하라. 지금 그대가 살아 있듯이 한 때는 나 또한 살아 있었노라. 내가 지금 잠 들어 있듯이 그대 또한 반드시 잠들리라. 어느 성직자의 묘지 입구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는데... “오늘은 내 차례, 내일은 네 차례” 라고 적어 삶이 유한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인도, 그리고 에집트까…

   죽더라도 체통은 지키자
1912년 타이타닉호가 빙산에 부닥쳐 침몰하는 과정은 영화로 재연됐습니다. 영화만으로 실제 상황을 다 알기는 어렵습니다 당시 생존자인 부선장은 오랜 세월 침묵 끝에 드디어 사고 당시의 이야기를 공개했습니다. 1912년 4월 14일은 공포의 날이었습니다. 사고로 1,514명이 사망했고 710명이 구조되었습니다. 사고 당시 38세였던 타이…
처음  1  2  3  4  5  6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