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Password  
  Forgot Password or ID | Sign Up  
 
     
Welcome to KoreanFest.com
 
   https://youtube.com/shorts/TxTHF5pzHLE?feature=shared / Min Pak & Atl… [1142]

현충일에 나누고 싶은…

지난 달 28일은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 데이(Memorial Day)
였습니다.

한 해의 첫번째 
국가공휴일이기도 하지요. 
전국적으로 전몰장병을 위한 
추모식과 아울러 재향군인들의 
퍼레이드도 있었습니다.

워싱턴 DC의 
알링턴 국립묘지에서는 
미국 대통령이 헌화를 하는 
엄숙한 행사도 있었습니다.

그날 CNN 뉴스를 보다가 
가슴 뭉클한 사진 한 장을 보았는데 
잠시 그 사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눌까 합니다.

애틀란타의 메이저리그 야구팀인 
브레이브스 구장에서 찍은 
사진이었습니다.

메모리얼 데이에 애틀란타에는 
비가 내렸나봅니다. 
야구장에 있는 돌아오지 못한 
장병을 위한 빈의자 옆에 
ROTC 정복을 입은 한 흑인 학생이 
부동자세로 서 있었습니다. 
그 옆에는 야구 구경을 온 관중인 
한 백인 중년 남성이 우산을 펴서 
그 학생 머리 위에 씌워주고 있는 
사진이었습니다.

자신은 비를 맞으면서 
정복을 입은 ROTC 학생이 
젖지 않도록 우산을 펴들고 
있었습니다.

이 사진 한 장이 
내재적인 미국의 힘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대부분의 운동 경기장에는 
빈의자를 하나 남겨두고 
거기에 돌아오지 못한 장병을 위한 
의자라고 팻말을 붙여놓았습니다. 
영어로 POW - MIA 라고 합니다.

POW는 전쟁포로
(Prisoner of War)의 약자이고, 
MIA(Missing in Action)는 
전장에서 실종된 장병의 약자 입니다. 
미국인들은 나라를 위하여 싸우다 
전사한 장병 뿐만아니라 
전쟁포로와 실종된 군인들까지 
잊지않고 챙깁니다.

그들의 국가를 위한 봉사를 
잊지말자고 사람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경기장의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빈의자를 마련하여 놓습니다.

돌아와서 이 자리에 앉으십시오. 
하는 경외심을 표현하는 것이지요. 
메모리얼 데이에 애틀란타 
브레이브즈 구장에 있는 
그 돌아오지 못한 
병사의 빈 의자를 찾아와 
선배(?) 병사에게 경의를 표하는 
그 ROTC 학생의 경건한 모습이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민간인인 중년 남성이 
ROTC 학생에게 우산을 받쳐주는 
이 모습은 흑인이나 백인이나 
군인이나 민간인이나 나라를 위한 
마음은 한결같다는 것을 
웅변으로 말해주었습니다.
미국에 살다보면 자기 집에 국기를 
항상 게양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검은 색갈의 POW-MIA 
깃발을 게양하고 있는 집들도 
심심찮게 발견합니다.

공항에서 탑승할 때, 
임신부와 장애 
그리고 군인을 제일 먼저 
탑승시킵니다. 
나라를 지키는 
군인을 존경하는 미국인의 모습과 
군인이 무시 당하는 한국의 모습이 
겹쳐 떠오르는 착잡함을 느낍니다.

6. 25 당시 중공군의 침략으로 
개마고원 장진호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미군의 전쟁사에 
가장 험악한 전투로 기록되는 
이 전투에서 
미군 1029명이 전사하고 
4893명이 실종되었습니다.

이 장진호 전투는 
흥남철수로 이어집니다. 
장진호 전투 생존자들이 
거의 90세가 되었습니다.

시카고지역 생존자들의 증언은 
가슴을 도려내듯 아픕니다. 
몇 개의 증언을 소개합니다.

1) 너무나 추운 날씨에 거의 대부분이
동상에 걸렸다. 
한 병사가 더 걸을 수 없어서 
주저앉아 군화를 벗으니 군화와 함께 
발가락이 쑥 빠져 버렸다.

2) 네이팜탄 파편이 바지에 떨어져 
불이 붙었는데 따뜻한 것이 
그리도 좋을 수 없었다.

3) 중공군의 총알이 다리를 
관통하였는데 날씨가 너무 추워 
피가 얼어붙어 자연지혈이 되어 
살아날 수 있었다.

4) 부상병을 데리고 나오는데 자신들 
때문에 중공군의 추격을 받게되니 
부상병들이 병사들의 등을 떠밀며 
'너희들은 살아서 고향으로 돌아가라' 
고 하소연 하여, 
우리는 눈물을 흘리며 
부상병들을 두고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희생으로 말미암아 
대한민국이 자유를 지킬 수 있었는데 
지금은 그들의 희생과 헌신을 
모두 잊어가고 있습니다. 
아니 이제는 미군 철수를 
공개적으로 말하고 있습니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군인들이 수학여행 중 
해난사고로 죽은 사람들보다 
천대를 받고 있습니다.

미국 사람들은 
돌아오지 못한 병사들도 기억하면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 
그들을 위한 자리를 마련하여 놓고 
살면서 학생들에게 그들의 헌신과 
희생 때문에 이 나라가 보전되고 
있다고 가르칩니다.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이 언제까지 
유지될까 저으기 염려되는 때에 
우리 국민 모두 현충일을 맞이하는 
마음은 착잡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제69회 현충일입니다. 
나라를 위해 목숨바친 국군장병들과 
호국영령들을 추모하기 위해 지정된 
법정기념일입니다. 
머리 숙여 호국영령님께 
간절한 기도를 올립니다.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끝까지 
지켜 달라고..."

출처: 캐나다 한국문인협회(KWAC) 
원문보기 글쓴이: 김혜진 (해림)

 
 

  지금...이 순간...  
   마지막 날들을 위한 용기

<마지막 날들을 위한 용기> 많은 사람이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 채 살아간다. 죽음을 앞두었을 때야 비로소 평생 진정으로 하고 싶었던 일이 떠오르기도 한다. 말기 환자들이 세상을 떠나기 전 후회하는 말은 ‘다른 사람이 아닌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았더라면’ ‘내가 그렇게 열심히 일하지 않았더라면’ ‘내 감정을 표현할 용기가 있었더라면’ ‘친구들과 계속 연락하고 지냈더라면’ ‘나 자신에게 더 많은 행복을 허락했…

   어느 할머니가 양로원에서

이 글은 할머니의 글이지만, 우리 모두의 현재 이거나, 미래라고 생각 된다. 어느 작은 요양병원에서 한 할머니가 돌아 가셨다. 간호사들이 조촐한 할머니의 짐을 정리하다가 "이" 편지를 발견 하게 되었다. 편지 내용에 감동받은 간호사 들이 이 편지를 복사 하여 모든 간호사 에게 전달 하였다. 한 간호사는 이 편지를 정신 건강협회 뉴스지의 "크리스 마스" 판에 실리게 하였다. 단순 하지만 마음을 움직이는 이 편지는 동영상으로 만들…

   영웅을 외롭게 만들지 않는 나라

미국의 애국자 예우/ 영웅을 외롭게 만들지 않는 나라! 바로 이런 것이 미국을 세계 최강국으로 만드는 것이다. 미국은 지구상의 어떤 나라보다도 많은 국방비 예산을 쓰면서 막강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최첨단 기술로 만들어진 무기들은 타국은 흉내 낼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것들이다. 하지만 미국이 세계 최강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엄청난 국방비도 최첨단 무기 들도 아니다. 무엇이 미국을 세계 최강의 …

   폭탄이 여기! 저기 ! 터지고 있어요.

벌써 2시간. 그는 거리에 서있는 빨간 차 한 대를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지금 그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발이 묶여 있습니다. 폭탄은 여기저기서 터지고 머리 위에서는 수시로 미사일이 떨어졌죠. 가족과 함께 방공호에 피신해있던 그는 상황이 악화되자 키이우를 떠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하지만 차량도, 휘발유도 구하기 어려웠죠. 그때 눈에 띈 것이 엉망이 된 도로에 서 있는 빨간 차 한 대였습니다. 시동장치에는 열쇠가 꽂혀 있었고, 기…

   진정한 승리자, 진정한 영웅
미국에 손꼽히는 명문 필립 엑시터라는 기숙형 고등학교가 있습니다. 200년이 넘는 전통에 미국 핵심 엘리트들을 길러낸 학교 입니다. 학교 강당에는 학교를 빛낸 졸업생들의 사진이 걸려 있습니다. 이들의 영웅이 정계의 실력가들이냐고요? 재계의 거물들 이냐고요? 최우수 졸업생들이냐고요? 아닙니다. 그들이 영웅으로 기념하는 …
   자랑스런 대한민국

1. 전자 공업이 세계에서 제일 발전한 나라.. 특히 반도체는 물론이고 가전 제품 (냉장고, TV,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를 비롯하여 삼성전자, LG전자, 하이넥스, SK반도체에서 생산하는 제품들은 전세계 판매량 40%를 차지함.. 2. 사회 생활 서비스 망이 세계 최고로 발전.. 가정 마다 자가용 승용차는 물론 시장, 교통 (버스, 택시, 열차) 도로, 식당, 편의점(마트), 지하철이 세계에서 최고.. 은행 카드 한장만 가지면 한국은 물론 유럽, 미국을 비롯한…

   자유의 소중함

자유의 소중함 -임현수목사- 내가 북한 땅에서 뼈저리게 배운 것은 자유의 소중함이다 북한 주민들이 가장 불쌍한 것은 자유가 너무 심하게 통제 받는다는 사실 때문이다. 북한은 심지어 라진(북한) 핫산(러시아) 훈춘(중국) 자유 경제 무역 지구에서 유일하게 자유라는 단어 지운 나라이다 공산주의 국가에서 가장 거슬리는 단어가 자유라는 단어이다 북한 땅에서는 어떤 외국인도 혼자서는 택시도 탈 수 없고 버스도 탈 …

   살며 사랑하며/ 80억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

<살며 사랑하며/ 80억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 -김선오 시인- DNA에 입력된 인간의 자연 수명은 38세라고 한다. 1992년에 태어나 올해 만 30세인 나는 곧 노년기에 들어서는 셈이 다. 위생과 의학의 발전은 인간의 평균 수명을 자연 수명의 2배 이상 끌어 올렸다. 현재 한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3.5세다. 나날이 빨라지는 정보의 확산과 기술의 발달을 통해 인류의 평균 수명은 점점 늘어갈 것이다. 수명이 늘어간다는 건 한 개체에 …

   망치질에도 철학 이 있다
<망치질에도 철학 이 있다> -조선일보 박돈규 기자- 그는 오늘도 허공에 망치질을 한다. ‘해머링 맨(Hammeri ng Man)’은 서울 광화문 근처에 있는 22m 높이의 움직이는 조각품이다. 요즘엔 산타클로스 모자와 양말을 착용하고 있어 멀리 서도 눈길을 붙잡는다. 해머링 맨이 망치를 머리 위로 올렸다가 내리기까지 걸리는 시간…
   십자가 없는 십자가상
십자가 없는 십자가상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 소재만으로도 충분히 슬픈데 내막을 알면 더 슬퍼지는 예술품이 있다. 조각가 권진 규의 건칠(乾漆) 작품 ‘십자 가 위 그리스도’가 그러하다. 서른세 살의 나이에 십자가 형을 받고 세상을 떠난 예수 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그런데 조각가는 삼베에 건칠 작업을 해 예수…
   아버지…
[사진의 기억] 어느 아버지의 초상 1932년부터 2015년까지 대한민국을 살다 간 한 남자가 있다. 이름 김순철. 고향이 평안북도 구성인 그는 열다섯 살에 홀로 삼팔선을 넘었고, 6·25전쟁에 참전했다. 생계를 위해 안 해 본 일 없는 청장년기를 보냈고 마흔이 되어서야 결혼해 1남2녀를 두었다. 몇 번인가 사업 실패로 고전했지만 가족에게는 내색치 않…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며~

가정의 달 5월을 맞이하며~ 가정이란? 부부(夫婦)를 중심으로 그 부모(父母) 나 자녀(子女)를 포함(包含)한 집단(集團)과 그들이 살아가는 물리적(物理的) 공간(空間)인 집을 포함(包含)한 생활공동체(生活 公同體)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사람은 가족(家族)과 같이 살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모른다. 가정은 최고(最高)의 안식처(安息處)이다. 사랑과 이해(理解)로 서로를 감싸준다. 대가없는 희생(犧牲)과 베품이 가득한 곳이다. *1852년 4월10…

   업어주는 사람
<업어주는 사람> -나민애 문학평론가- 오래전에 냇물을 업어 건네주는 직업이 있었다고 한다 / 물가를 서성이다 냇물 앞에서 난감해하는 이에게 넓은 등을 내주는 / 그런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중략) 병든 사람을 집에까지 업어다주고 그날 받은 삯을 / 모두 내려놓고 온 적도 있다고 한다 / 세상 끝까지 업어다주고 싶은 사람…
   “내 우물쭈물하다가 이렇게 될 줄 알았다.”

남은 인생, 어떻게 살 것인가? ​ 백 년 전쟁 때 영국의 태자였던 에드워드의 묘비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지나가는 이여, 나를 기억하라. 지금 그대가 살아 있듯이 한 때는 나 또한 살아 있었노라. 내가 지금 잠 들어 있듯이 그대 또한 반드시 잠들리라. 어느 성직자의 묘지 입구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는데... “오늘은 내 차례, 내일은 네 차례” 라고 적어 삶이 유한하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 인도, 그리고 에집트까…

   죽더라도 체통은 지키자
1912년 타이타닉호가 빙산에 부닥쳐 침몰하는 과정은 영화로 재연됐습니다. 영화만으로 실제 상황을 다 알기는 어렵습니다 당시 생존자인 부선장은 오랜 세월 침묵 끝에 드디어 사고 당시의 이야기를 공개했습니다. 1912년 4월 14일은 공포의 날이었습니다. 사고로 1,514명이 사망했고 710명이 구조되었습니다. 사고 당시 38세였던 타이…
처음  1  2  3  4  5  6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