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 Password  
  Forgot Password or ID | Sign Up  
 
     
Welcome to KoreanFest.com
 

한국에 와 보니…

재미동포가 쓴 글~

한국에 와 보니 웬만한 동네는 모두 고층 아파트가 되어있다. 

가정집뿐만 아니라 심지어 공중화장실에도 미국에서는 부자들만 쓰는 비데가 설치되었고,
 
주차티켓을 뽑는 그런 촌스런 행동은 하지 않고 우아하게 자동인식으로 주차장에 들어간다.

모든 대중교통은 카드 하나로 해결되고,

집에 앉아서 롯데리아 햄버거를 배달시켜 먹고, 

어느 집을 가도 요즘은 비밀번호나 카드 하나로 모든 문을 열고  들어간다.

열쇠, 주차 티켓, 화장실 휴지 등등은 이제 구시대의 물건이 되었다.

차마다 블랙박스가 달려있고, 

방문하는 집마다 거실에 목받이 소파가 있고, 

집안의 전등은 LED이며 전등, 가스, 심지어 콘센트도 요즘은 리모컨으로 켜고 끈다.

미국에서 나름대로 부자동네에서 살아온 나도 
집마다 구석구석에 박혀있는 사치스럽고 고급스러운 제품들에 놀라고 부러워하며, 

마치 예전에 일본제 제품들을 보는 듯한 신기함에 빠지고, 

내 삶은 마치 2~30년은 과거에 살다온 느낌이 든다.

오늘도 너무나 부드럽고 고급스런 창문을 열면서 우리 집의 뻑뻑거리며 자주 레일을 벗어나는 

문을 이렇게 바꾸면 얼마나 좋을까? 

부러움으로 괜히 창문을 열었다 닫았다 해본다.

집집마다 수십 개의 스포츠 채널을 포함,끝없는 채널이 나오고,

가는 곳마다 즉 지하철,고속철도,
음식점, 상점가, 심지어는 버스정류장에서도 자동으로 초고속 와이파이가 잡힌다.

역마다 정류장 마다 몇 분 후에 내가 기다리는 차가 온다는 정보도 뜨니, 

옛날처럼 도로를 쳐다보며 버스를 놓칠까 염려하는 모습은 사라진 지 오래다.

나도 우아하게 비데를 사용하며,

편리한 지하철,
고속열차를 이용하고, 

요금이 싼 택시도 타고 다녀보고, 

그리고 몇 걸음만 걸으면 먹을 수 있는 수 없이 다양한 음식과 디저트를 즐기면서 목받이 소파에 

눕듯이 앉아 수 많은 채널을 돌려가면서 이 고급스러운 생활을 며칠만 있으면 두고 떠난다는 것이 못내 아쉽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만나는 사람마다 한국에 사는 것이 얼마나 힘든 지를 토로한다.

전셋값이 얼마나 비싼지,

정치는 얼마나 헛짓을 하는지,

아이들 교육시키기가 얼마나 힘이 드는지,

만나는 사람마다 자신이 지옥에 살고 있다고 
모두들 아우성이다.

돈이 없다고 하면서 땅이나 주식투자 안하는 친구들이 거의 없고, 

고급차 한 대 안가지고 있는 사람이 별로 없고,

아이들 스포츠나 과외 안 시키는 사람이 드물다.

같은 가격이면서 우리집 보다 방은 두배 많고,

연 이자도 2% 대인 모기지를 가진 한국에서 전세라는 훌륭한 제도를 통해 매달 이자를 안 내고 살 수도  있는 

이곳 사람들이 오늘도 모기지(부동산 담보대출이자)로 매달 3~4천 불을 내며 미국에 사는 우리들보다 

행복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연봉이 나보다 반이나 적은 사람이 나보다 더 좋은 차를 몰고 더 비싼 걸 먹고 더 편리하고,
 
더 고급스런 제품이 가득한 삶을 살면서도 만족스럽지 않은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의료보험은 열 배나 싸고, 

치료비도 열 배 싸게 느껴지는 이곳에서, 

같은 10불 짜리 밥을 먹어도 팁이 없어서 늘 몇 프로 할인받는 느낌인 이곳에서 대부분 사람들이 느끼는, 

삶이 지옥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참 신기하다.

50대가 되면 쫓겨나야 하는 현실,
줄어드는 일자리에 대한 말을 많이 듣지만 실제로 내 주변에 해고 당한 사람은 
한국보다 미국이 훨씬 많은데,

미국의 반도체 기업 3사의 엔지니어들이 직업을 잃어, 

몇 개월을 다른 일자리를 찾아 헤매도 쉽지않은 나로서는, 

미국이 일자리가 
더 안정되었다는 이들의 말에 선뜻 동의하기가 어렵다.

미국 생활이 길어져서 감을 잃어버린 걸까?

아마 나도 이곳에 살아보면 이들처럼 느끼게 되겠지,

하며 나는 공감능력이 확실히 떨어진 상태로,

오늘도
수 많은 이들의 불평을 듣고 있다.

냉장고를 두세 개 가지고,

고기를 종종 먹으며
사시미를 먹고, 
좋은 차를 몰고,

편하고 고급스런 집에서 살면서도 만족을 모르고 가난과 위기를 노래하게 된 내 조국, 

이들에게 하나님이 주시는 진짜 안식과 평안이 필요함을 느낀다.

언제쯤 되면 우리는 진짜 가난한 북쪽의 동포를 돌아보는 그런 여유가 생기는 진짜 부자가 될까?

스스로 부한 체 하여도 아무것도 없는 자가 있고,

스스로 가난한 체 하여도 재물이 많은 자가 있느니라(잠 13:7)

대한민국은 초고속으로 압축성장한 나라다. 

아마도 기네스북에 올려야 할 나라다.

세계가 다 아는데 모르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대한민국 국민이다.

그래서 이민을 가려는 자들이 
줄을 선다. 

자신은 아니더라도 자식만은 미국에 보낸다. 

국회 인사청문회를 보면 거의가 다 그렇다.
자식을 이중국적자로 만든다.

무엇이 불안한 지 위장전입도 
서슴지 않는다.

그렇게 바쁜 인생들을 산다.
우리나라는 국토도 최선진국이다.

산에는 나무가 너무 많아 간벌을 해야 할 지경이다.

공중에서 본 국토는 온통 푸르다.

그리고 넓게 거미줄 같이 뻗은 고속도로, 다목적댐과 
4대 강 사업으로 
물은 항상 넘실댄다.

홍수와 가뭄은 이제 옛날이야기가 되었다.
더 기가 막히는 사연이 있다.

한민족은 5천 년을 배고프게 살았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쌀이 넘쳐나 저장할 창고가 없다.

그뿐이랴 
각종 먹거리가 산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뚱보가 늘어나고 
당뇨와 혈압 환자가 줄을 잇는다.

세상은 이렇게 풍요로운데 왜 우리는 바쁘고 불안하고 불만족스러운가?

더 많이 소유하고 싶고 남 보다 더 앞서고 싶은 욕구를 이루지 못한 불만 때문이 아닐까? 

그렇나 욕심이 잉태하여 죄를 낳고 죄가 성장하여 사망에
이른다는 진리를 깨닿고 주어진 현실에
만족하며 살아야 하지 않을까요?

좋은 집,
좋은 교통,
좋은 의료 제도 안에서 불안한 삶을
벗어나 행복한 삶을 살아가면서 우리 조국 대한민국을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하며 살아야 할지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 가져 보기를 부탁드립니다.♧♧
--옮겨온 글--


 
 

  지금...이 순간...  
   지구위에 나는 어느 위치에 살고있나?..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것은 큰 숫자이다. 하지만 세계 78억 명을 100명으로 압축하고, 다양한 통계로 압축했다. 그 결과, 분석은 비교적 이해하기 쉽다. 즉, 100명중 11명은 유럽에 있다. 5명은 북미에 있고 9명은 남미에 있다. 15명은 아프리카에 있고 60명은 아시아에 있다. 49명은 시골에 살고 51명은 도시/동네 거주하며 77명이…
   (K-PRESIDENT) 계몽령을 통해 누가 역적인..
윤석열 대통령 ! 계몽령을 통해 누가 역적인지를 알게 되었다 . 대한민국은 지금 거대한 격변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 .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국가적 결단이 내려졌고 , 그 과정에서 국민들은 많은 것을 목격하며 깨닫고 있다 . 역사는 언제나…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2025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 자유와 희망의 선율로 새해를 열다 매년 1월 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빈 필하모닉 신년음악회 (Vienna Philharmonic New Year’s Concert)는 전 세계 클래식 애호가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새해 전통 행사입니다. 음악회는 웅장한 뮤지크페라인 황금홀(Goldener Saal)에서 진행되며, 화려한 꽃 장식과 정통 오스트리아 왈츠의…
   K-Children's Choir
Korean Children's Choir [That Moment] Liberation Day Open Concert in the U.S. An “Open Concert” in celebration of Liberation Day was held at the Clayton Performing Arts Center in Atlanta. It was like a small oasis amidst the heat of midsummer and the noise of the city. The concert featured the Atlanta Philharmonic, conducted by Park Min, and the Atlanta Children’s Choir, directed by Cheon Young-jun. On stage, a large crescent moo…
   자신(自身)의 시간
자신(自身)의 시간 뉴욕은 캘리포니아보다 3시간 빠릅니다. 그렇다고 캘리포니아가 3시간 뒤처진 것은 아닙니다. 그냥 뉴욕은 뉴욕 시각, 캘리포니아는 캘리포니아 시간일 뿐입니다.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보다 2년 빨리 22세에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5년을 기다렸습니다. 어떤 사람은 일찌감치 25세…
   광복절,대한민국 그리고 태극기에게
대한민국 그리고 태극기에게 함동진 1. 대한민국에 네가 있으므로 한국이란 얼굴이 있고 무궁화꽃 국민의 가슴속에 만발하다 . 해방조국 광복의 날 대한민국 건국 있던 날 손에손…
   황 혼
황 혼 - 이인호 시- 늙어가는 길 처음 가는 길입니다. 한 번도 가본 적이 없는 길입니다. 무엇 하나 처음 아닌 길은 없지만, 늙어가는 이 길은 몸이 마음과 같지 않고 방향 감각도 매우 서툴기만 합니다. 가면서도 이 길이 맞는지? 어리둥절 할 때가 많습니다. 때론 두렵고 불안한 마음에 멍하니 창 밖…
   포브스 지에 아시아 최고의 기부왕 !
정도를 지켜라 정도가 이긴다 한국인으로 포브스 지에 아시아 최고의 기부왕으로 선정된 분이 있다. "평생 거지 같이 벌어서 천사처럼 쓰겠다."고 악착같이 10개의 계열사를 만들어서 평생 모은돈 1조7,000억원을 기부하신 분이다 1958년부터 프라스틱을 주워서 양동이를 만들기 시작하신 분 2002년에는 관정 장학 재단을 마들어서 매년 2,000…
   윌리엄 해밀턴 쇼릉 기리며…
윌리엄 해밀턴 쇼의 가족 / 출처 : 목원대학교 홈페이지 서울 녹번동 은평평화공원에 군복차림의 동상이 있습니다. 6·25전쟁 첫 해인 1950년 9월 22일 서울수복작전 때 녹번리 전투에서 29세로 전사한 미국 해군 대위 윌리엄 해밀턴 쇼를 기리는 조형물 입니다. 동상에 <사람이 친구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버리면 이보다 더 큰 사…
   마음의 정원
마음의 정원도 가꾸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늘 좋은 것, 늘 행복하기를 소망합니다. 그러나 "햇빛이 늘 비치는 곳은 사막이 된다.”라는 아랍 격언이 있습니다. 우리 인생에는 햇빛과 비가 모두 필요합니다. 하나님은 웃음과 함께 눈물을 주십니다. 하나님은 기쁨과 함께 슬픔도 주십니다. 하나님은 승리와 함께 패배도 주십니다. 하나님은 …
   오늘 내가 슬픔을 넘어 기쁜 이유
리차드 위트컴 장군(Richard S. Whitcomb)과 그의 부인 한묘숙 여사에 대한 전설적인 실화다. 6.25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 장성, 그는 당시에 미군 군수사령관이었다. 1952년 11월 27일, 부산역 건너편 산 판자촌에 큰 불이 났다. 판자집도 변변히 없어 노숙자에 가까운 생활을 하던 피난민들은 부산역 건물과 인근에 있는 시장 점포 등이 유일한 잠…
   현명한 인생 처세술
탈무드의 현명한 인생 처세술 1 : 사람에게 하나의 입과 두 개의 귀가 있는 것은 말하기 보다 듣기를 두 배로 하라는 뜻이다. 2 :결점(缺點)이 없는 친구를 사귀려고 한다면 평생(平生) 친구를 가질 수 없을 것이다. 3 :자기 아이에게 육체적 노동(肉體的 勞動)을 가르치지 않는 것은 약탈(掠奪)과 강도(强盜)를 가르치는 것과 마찬가지다.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일을 ..
( 사진)한미동맹을 기념하고 , 한국전참전용사 추모를 위한 평화와 화합 음악회 UN & Korea War Veterans Appreciation Concert 박민이 지휘하는 애틀랜타 필 ~ 이 Amazing Grace 를 공연하고있다 . 노르망디 상륙작전 80주년 기념일을 통해 다시 돌아보는 애국심 1944년 6월6일, 미국과 영국군이 주력…
   미국은 우리나라 의 어떤존재인가?
호국보훈의달 ! 6월을 맞이 할 때마다 잊지 못하는 미국은 우리나라 의 어떤존재인가? 어찌되었던 미군은 1950년 7월 1일 한국에 첫발을 디딘 이후 3년 1개월 간 전쟁을 치루면서, 전사자54,246명을 비롯하여 실종자 8,177명, 포로7,140명, 부상자103,284명 등 172,800여 명이 희생당했다. 국군 희생자가 645,000명에 비해 무려 27%나 된다. 이처럼 …
   "봄의 예찬(禮讚)"
"봄의 예찬(禮讚)" “봄은 처녀(處女), 여름은 어머니, 가을은 미망인(未亡人), 겨울은 계모(繼母), 일년 사계절(四季節)을 여인(女人)에 비유한 폴란드의 명언(名言)“입니다. 봄은 처녀처럼 부드럽다. 여름은 어머니처럼 풍성하다. 가을은 미망인처럼 쓸쓸하다. 겨울은 계모처럼 차갑다. 봄 처녀가 불룩한 생명의 젖가슴을 갖고 부드러…
 1  2  3  4  5  6  맨끝